2025 서울시 임신·출산 혜택 총정리!!!!! 1원도 놓치지 마세요!

2025. 4. 14. 09:01리뷰/생활정보

반응형

 

 

 

안녕하세요 :)
요즘 출산 준비하시면서 “도대체 어떤 혜택이 있는 거야?”
이렇게 헷갈리셨던 분들 많으시죠?
특히나 서울시는 자치구마다 혜택이 다 달라서 더 복잡하게 느껴지실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서울시에 거주 중인 예비맘·육아맘을 위한
임신부터 출산까지 받을 수 있는 금전 지원부터 실질 혜택까지
✔ 전부! 하나하나!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첫째보다 둘째, 셋째일수록 더 많이 받는다던데… 진짜인가요?”
네, 구마다 다르지만 많게는 5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
아래 표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2025년 서울시 임신·출산 혜택 총정리

1. 💳 첫만남 이용권

  • 지원금액: 200만 원 바우처
  • 사용처: 온라인 쇼핑몰(네이버, 쿠팡 등), 일반 마트, 오프라인 상점(사행성 업종 제외)
  • 신청 방법: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출생신고 후 신청
  • 사용 기한: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 주의사항: 잔액은 환불되지 않음

 

 

2. 🏥 임신·출산 진료비 바우처

  • 지원금액: 100만 원 바우처
  • 사용처: 병원, 약국에서 임신과 출산 관련 의료비 및 약제비로 사용
  • 신청 방법: 정부24(www.gov.kr)에서 신청 후 국민행복카드에 등록하여 사용
  • 사용 시 유의사항: 병원에서 사용 시 “바우처로 계산합니다.”라고 반드시 언급

 

3. 🚇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금액: 70만 원 바우처
  • 사용처: 택시,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 신청 방법: 정부24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후 필수 임신 강의(1개) 수강 후 카드에 연동
  • 신청 시기: 임신 3개월 ~ 출산 3개월 내

 

4. 🏠 산후조리 경비 지원

  • 지원금액: 100만 원 바우처
  • 사용처: 산후조리원 비용 등
  • 신청 방법: 서울맘케어(www.seoulmomcare.com)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5. 👩‍⚕️ 35세 이상 고위험군 산모 지원

  • 지원금액: 최대 50만 원
  • 대상: 서울시 거주 35세 이상 임산부
  • 사용처: 고위험 임산부 외래 진료비, 초음파 검사 비용 등
  • 신청 방법: 몽땅정보만능키 포털에서 신청 후 관련 진단서 등 증빙 서류 제출
  • 신청 시기: 임신 확인 후 ~ 출산 후 6개월 이내

 

6. 🏡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 지원금액: 최대 720만 원
  • 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무주택 가구로,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지원 조건: 서울 소재 전세가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 임차주택 거주자
  • 신청 방법: 2025년 5월부터 신청 예정

 

7. 🧼 임신부 위생용품 지원

  • 지원 내용: 항균 손 세정제(용기/리필), 시린이 치약, 약한 잇몸용 칫솔 등 4종 세트
  • 대상: 보건소에 등록된 서울시 모든 임신부
  • 수령 방법: 보건소 방문 또는 택배 수령(엽산, 철분제 택배 신청자)

 

8. 🧘‍♀️ 난임·임산부 심리상담 지원

  • 지원 내용: 심리검사와 심리상담, 마음건강회복을 위한 집단치료 프로그램 등
  • 대상: 난임부부, 임신부, 출산 후 3년 이내의 양육모(미혼모의 경우 출산 후 7년 이내)
  • 이용 방법: 서울권역 난임·임산부심리상담센터(강남·송파구센터), 서울 서남권역 난임·임산부심리상담센터(보라매·금천구센터) 이용

 

9. 🧑‍💼 소상공인 임신·출산 휴업 지원

  • 지원금액: 최대 50만 원
  • 지원 내용: 임신·출산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휴업해야 하는 소상공인에게 하루 최대 5만 원씩, 최대 10일까지 지원
  • 신청 방법: 여신금융협회에서 발급한 카드 승인 내역이나 국세청 휴업사실증명원을 통해 휴업 사실 증명 후 신청

 

 

 

 

🍼 2025년 서울시 자치구별 출산 지원금 (자녀 수별)


자치구 첫째 둘째 셋째 이상
강남구 100만 원 200만 원 300만 원
서초구 100만 원 200만 원 500만 원
송파구 70만 원 150만 원 300만 원
마포구 50만 원 100만 원 200만 원
강북구 50만 원 100만 원 150만 원
종로구 100만 원 150만 원 200만 원

 

💡 참고 사항

  • 신청 방법: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 또는 구청에서 신청하셔야 합니다. 필요한 서류로는 출생신고서, 주민등록등본, 보호자 신분증, 통장사본 등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2025년 서울시의 다양한 출산 혜택을 잘 확인하셨나요?
출산과 육아에 도움을 주는 혜택들을 놓치지 않도록 꼭 챙기세요!
여러분의 행복한 출산과 육아를 응원합니다 😊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찾아올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