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8. 8. 15:02ㆍ재테크/부동산
부산 학군 좋은곳 학군지 총정리 비교 분석
안녕하세요.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께서는 학군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하고 계실텐데요.
사실 학군지에서 안커봤을 경우에는 모르겠지만, 학군지에서 나고 자란 부모일수록 학군지에 대한 열망이 더 커지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부산 학군에 대해서 비교 분석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상 전국적으로 봤을 때 부산은 학군이라고 할 것까지는 없다 정도로 대치, 목동, 대구 수성구 등에 비해 학원가가 너무 많이 차이 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이 포스팅은 그 중에서도 부산에서 학군을 판단해보자면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찰입니다.
우선 학군지라고 거주자들이 언급하고 있는 곳들을 추려봤습니다.
부산에는 서쪽부터 화명동, 사직동, 센텀시티(우동), 좌동 으로 총 4개의 학군이 있다고 언급되곤 합니다.
일단 학군지의 기본 구별점이 되는 학원가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1. 학원가에 대한 고찰 ]
전통적 학군지로 일컬어지는 대치, 목동의 경우에는 한건물 전체가 학원일만큼 밀도높은 학원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부산의 학군지가 학군지로써 어떤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목동의 학원수는 600여개, 대치동의 학원수는 900여개 정도입니다. 그 숫자와 비교해 봄으로써 학원가가 얼마나 형성되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수성구는 350여개 학원으로 추정)
평균 학원비는 대치 3.3만, 목동 1.4만, 대구 수성구 1.3만 정도 수준입니다.
[ 화명동 학군 - 학원가 ]
화명동은 화명역 근처에 학원가가 몰려있으며 학원수는 102개 정도로 대치동 900여개, 목동 600여개에 대비하여 턱없이 부족한 학원수를 보입니다. 다만 그 집중도는 꽤나 높은편으로 학원 이동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사직동 학군 - 학원가 ]
사직동의 학원가는 종합운동장역부터 사직역까지 길쭉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 합치면 그 숫자는 250여개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밀집도는 살짝 낮지만 꽤나 많은 학원가가 모여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주로 창신초 주변, 사직역 주변, 먹자골목쪽으로 나누어져 있고, 사직 구장 앞에는 식당/상가등이 밀집되어 있어 전통적인 학원가의 모습은 아닙니다. 지하철 라인을 따라 큰길 가로 학원이 늘어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센텀시티 학군 - 학원가 ]
센텀시티의 학원수는 100여개 안팎으로 화명동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나머지 학군들의 평균 학원비가 1.0만 인 것을 감안했을 때, 센텀시티 학원가는 1.2만으로 타 부산 학군지 대비 고급 학원가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학원비는 학원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임을 감안했을때, 목동/대구 수성구 수준의 학원이 입주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좌동 학군 - 학원가 ]
좌동의 학원수는 200여개로 사직동의 학원수 250여개에는 못미치지만 그래도 부산 내에서는 준수한 학원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장산역 주변에 100여개가 밀집해 있고, 나머지 150여기는 산발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단점입니다. 상당중학교 학원가 제외 도보 이동가능한 수준입니다.
주요 학원가는 장산역 부근이며, 우동/중동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학원을 통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 2. 중학교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에 대한 고찰 ]
이번에는 각 학군의 객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는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이 높을 수록 학군이 좋다고 여겨지는 것은 통상적인 개념으로, 이를 살펴봄으로써 어느 학군지가 부산에서 가장 좋은지를 판단 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전통적 학군지 대치, 목동의 특목고/자사고 진학률 ]
먼저 부산 각지를 비교하기에 앞서 서울 학군지의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은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대치동의 '강남서초2학교군'의 경우 정통 명문인 휘문중과 중동중이 있는데, 휘문중의 경우 특목고 6명, 자사고 127명으로 133명이 진학했습니다. 중동중의 경우에도 특목고 7명, 자사고 129명으로 총 136명이 진학하였습니다. 휘문고등학교(자사고)의 영향도 있겠지만 어마어마한 숫자가 진학함을 알 수 있습니다.
목동의 중학교들은 양정중이 특목고 7명, 자사고 75명을 진학시켰으며, 목운중은 특목고 36명, 자사고 67명, 월촌중은 특목고 37명, 자사고 47명을 진학시킴으로써 평균적으로 70 ~ 100여명을 진학시킴을 알 수 있습니다.
수성구의 경우에는 상위 10%기준 경신중 특목고 5명/자사고 29명, 동도중 특목고 9명/자사고 21명, 오성중 특목고 16명/자사고 6명, 정화중 특목고 6명/자사고17명 으로 20~30명 정도 진학함을 알수있습니다.
이제 부산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명동, 사직동, 재송동, 좌동 순서입니다.
화명동의 경우 부산 상위 10~40%정도의 학군을 보여주며, 10명 내외의 무난한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을 보여줍니다. 이는 서울은 물론, 대구 수성구와 비교해봤을 때도 터무니 없이 낮은 수치라 비교하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사직동의 경우 3 ~ 30% 정도의 학군을 보여주며, 그 중 상위 10% 이내의 학교가 2개 포진하고 있습니다.
여명중의 경우 약 32명, 사직여중의 경우 21명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하였습니다.
센텀시티의 경우 센텀중학교가 눈에 띄는데, 특목고 35명, 자사고 35명 수준으로 상기 4개의 학군 중 가장 높은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을 보여줍니다. 그외 인지중, 장산중은 화명동/사직동과 비슷한 수준의 특목고 진학률을 보여줍니다. 다만 중학교는 거리순으로 배정되는 점 감안해볼때, 2~3km 떨어진 인지중, 장산중은 배제하는 것이 맞아보이기도 합니다.
좌동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1~20%의 부산 상위권 중학교들이 포진합니다. 10명에서 37명까지의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을 보이며 해운대중/해운대여중/해강중은 상위 1~2%의 학교로 30~40여명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함이 확인됩니다.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을 부산 내에서 정리해보면,
센텀시티(평균 32.3명) > 좌동(20.8명) > 사직동(평균 15.6명) > 화명동(평균 8.6명)
이와 같습니다.
[ 3. 부산 학군지 총평 ] - 중요!!!
- 학원수 기준 : 사직동(250여개) > 좌동(200여개) > 화명동(100여개) > 센텀시티(100여개)
- 특목고/자사고 진학률 기준 : 센텀시티(평균 32.3명) > 좌동(20.8명) > 사직동(평균 15.6명) > 화명동(평균 8.6명)
이와 같은 학군지를 평가하는 기준을 살펴봤을 때, 전통적 학군지인 사직동은 학원수는 많으나 그 명성에 걸맞지 않는 아웃풋을 내놓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을 보면 센텀시티, 좌동의 진학률이 부산 내에서는 압도적으로 높으며, 이는 해운대 지역이 신흥 학군지로써 부상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지표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센텀시티가 학원수는 적으나 학업성취도는 높은 것은 물론 개인교습, 과외 등의 영향도 있겠으나, 해운대 학군이 좌동 + 우동 + 센텀으로 추후 거대화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과거 서울은 돈이 모이는 곳에 학군지가 형성되었습니다. 대치는 강남 개발, 목동은 신도시 개발로 인한 중산층/부유층의 유입이 그 원인이었지요.
"교육에는 증여세가 없기때문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곤 합니다.
부의 해운대로의 이동에 따른 학군지 이동으로 볼 수 있겠네요. 센텀/해운대 쪽의 학군이 예전에 비해 괄목한 성장을 이루고있는 지금, 부산 제일의 학군지는 중학교 기준 해운대라고 지표가 말 해 주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조금더 넓은 시야로, 서울/대구/부산의 학군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년 넘게 산 집, 상속세는 얼마나 나올까? (1) | 2025.07.22 |
---|---|
아난티 회원권 전망, 지금 사야하는 이유? (아난티 금강산, 레이크 드 아난티코드) (0) | 2025.07.10 |
2025 부동산 전자계약서 작성법 완전정복! 공인인증서 없어도 OK!!! (2) | 2025.07.09 |
DSR, DTI 계산법부터 실제 예시까지! 대출 가능 금액 한눈에 정리 (3) | 2025.07.03 |
상속세·증여세 계산방법 (+무료 계산기 링크) (1)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