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증여세 계산방법 (+무료 계산기 링크)

2025. 7. 2. 19:45재테크/부동산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모님께 재산을 받거나, 자녀에게 증여를 고려할 때 가장 헷갈리는 게 바로 세금이죠.

“이거 세금 얼마 나올까?” 궁금했지만, 계산법은 복잡하고 인터넷 정보도 제각각이라 답답했던 분들 많으실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상속세·증여세 계산방법을 아주 쉽게 정리해드리고,
바로바로 확인 가능한 무료 계산기 링크도 함께 알려드릴게요.

 

[ 상속세 계산방법 ]

상속세는 사망한 사람의 재산을 상속받을 때 내는 세금입니다.

1. 과세표준 구하기

총 상속재산 - 공과금·채무·장례비 - 비과세 재산 - 공제 = 과세표준

✔️ 기본공제: 5억 원
✔️ 배우자 상속공제: 최대 30억 원
✔️ 기타 공제 항목: 자녀공제, 금융재산 상속공제 등

2. 세율 적용

과세표준 구간세율누진공제
1억 이하 10% -
5억 이하 20% 1천만 원
10억 이하 30% 6천만 원
30억 이하 40% 1억 6천만 원
30억 초과 50% 4억 6천만 원
💡 예시

부모님이 돌아가시면서 10억 원을 상속받는 경우:
→ 기본공제 5억 원을 제외한 5억 원에 대해
→ 세율 20% - 누진공제 1천만 원 적용
→ 총 세금: 약 9,000만 원

 

 

 

증여세 계산방법

증여세는 살아있는 사람이 재산을 무상으로 줄 때 받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1. 공제 기준

증여 대상공제 금액
배우자 6억 원
직계존비속(자녀 등) 5천만 원 (미성년자: 2천만 원)
기타 1천만 원
 

2. 세율 구조

증여세도 상속세와 동일한 누진세율 구조를 적용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상속세와 증여세, 둘 중 뭐가 더 유리할까요?

  • 증여는 조기 분산 가능하지만 세율이 동일하고 공제가 적은 편
  • 상속은 기본공제가 크고 배우자 공제가 큼
    → 상황에 따라 절세 전략이 달라지므로 전문가 상담도 고려해보세요

 

Q. 부모가 자녀에게 매년 5천만 원씩 주면?

  • 10년간 총 5천만 원까지는 비과세입니다

 

 

 

🔗 무료 상속세·증여세 계산기 모음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_pp.xml&menuCd=UTERNAAM07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홈택스 상속세 계산기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_pp.xml&menuCd=UTERNAAU44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홈택스 증여세 계산기

 

 

요즘은 상속이나 증여를 단순한 가족 간 증여가 아닌 자산 이전 전략으로 활용하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정확한 계산은 물론, 사전에 미리 계획하는 게 중요하겠죠?

복잡한 세금 문제, 오늘 정리한 상속세·증여세 계산법과 무료 계산기로 한결 수월해지셨길 바랍니다 

반응형